1. 서버 /etc/exports 파일 설정
share-directory client1(options,,,) client2(options,,,)
- share-directory : 공유할 디렉토리명
- client1 : 공유 디렉토리에 접근할수 있도록 허용된 호스트들
- options : 접근 권한설정
+ ro : 클라이언트는 공유 디렉토리에 대해 읽기만 가능하다,
+ rw : 클라이언트는 공유 디렉토리에 대해 읽기/쓰기가 가능하다.
+ no_root_squash : 클라이언트의 root는 서버의 root와 같은 권한을 가진다.
+ No_subtree_check : 공유된 디렉토리내에 있는 서브 디렉토리들을 공유에서 제외 시키는 경우 설정
#vi /etc/exports
/fileserver/images 192.168.1.211(rw) 192.168.1.212(ro)
※ 폴더 권한은 707로 준다.
※ Cent 5.2 “Permission denied“ 에러 발생시 insecure 옵션 추가
2. NFS 서버 데몬 구동
#/etc/init.d/portmap start
#/etc/init.d/nfs start
#/usr/sbin/exportfs -ar : 파일이 커널에 적용되도록 한다.
#/usr/sbin/exportfs -v : 현재 커널에서 알고 있는 익스포트 리스트를 출력한다
#/usr/sbin/nfsstat : NFS 상태 정보를 출력한다.
3. NFS 클라이언트 마운트
※ 솔라리스10 은 NFS 버젼 때문에 타기종 OS가 서버인 NFS 가 마운트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
이때
vi /etc/default/nfs 에서
#NFS_SERVER_VERSMAX=4 값을 NFS_SERVER_VERSMAX=3 로
#NFS_CLIENT_VERSMAX=4 값을 NFS_CLIENT_VERSMAX=3 로 바꿔주고 실행 하면 된다.
#/etc/init.d/nfslock start : 데몬시작
* 수동마운트
리 눅 스 : #mount -t nfs 192.168.1.220:/fileserver/images/ /images
솔라리스 : #mount -f nfs 192.168.1.220:/fileserver/images/ /images
* 마운트 실행시 사용할수 있는 옵션들
-o timeo=10 : NFS 서버와 연결이 끊어진 경우 timeo에서 지정한시간(1/10초단위) 기다렸다가 경고 메시지를 발생
-o rsize=1024 wsize=1024 : 읽고/쓰기 버퍼의 크기를 설정한다.(1024KB=1M)
-o soft : remote mount를 실행할 때 성공하지 못하면 timeo 까지만 retry 후 에러 메시지를 발생하고 종료
-o hard : remote mount가 성공할 때 까지 무한시 재시도한다. (디폴트값이다)
-o bg : 첫번째 마운트 시도가 실패인경우 백그라운드로 계속 마운트를 재시도한다.
* 부팅시 자동마운트(리눅스)
#vi /etc/fstab
192.168.1.220:/fileserver/images/ /images nfs defaults
* 부팅시 자동마운트(솔라리스)
#vi /etc/vfstab
192.168.1.220:/fileserver/images/ - /images nfs - yes soft,intr,bg
* 설정후 마운트
#mount /images
* 마운트 해제
umount /images
※ umount: /images : device is busy 가 뜰경우
fuser -k /images 후 umount /images 실행
*NFS 서버 방화벽 설정
#vi /etc/sysconfig/nfs 수정
STATD_PORT=4001
LOCKD_TCPPORT=4002
LOCKD_UDPPORT=4002
MOUNTD_PORT=4003
# vi /etc/services
rquotad 4004/tcp # rpc.rquotad tcp port
rquotad 4004/upd # rpc.rquotad udp port
#service nfs restart
#service nfslock restart
#포트정보 확인
#/usr/sbin/rpcinfo -p
100003 2 udp 2049 nfs
100003 3 udp 2049 nfs
100003 4 udp 2049 nfs
100003 2 tcp 2049 nfs
100003 3 tcp 2049 nfs
100003 4 tcp 2049 nfs
100021 1 udp 4002 nlockmgr
100021 3 udp 4002 nlockmgr
100021 4 udp 4002 nlockmgr
100021 1 tcp 4002 nlockmgr
100021 3 tcp 4002 nlockmgr
100021 4 tcp 4002 nlockmgr
100005 1 udp 4003 mountd
100005 1 tcp 4003 mountd
100005 2 udp 4003 mountd
100005 2 tcp 4003 mountd
100005 3 udp 4003 mountd
100005 3 tcp 4003 mountd
100024 1 udp 4000 status
100024 1 tcp 4000 status
#vi /etc/sysconfig/iptables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111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2049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4001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4002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4003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tcp -p tcp --dport 4004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udp -p udp --dport 111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udp -p udp --dport 2049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udp -p udp --dport 4001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udp -p udp --dport 4002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udp -p udp --dport 4003 -j ACCEPT
-A RH-Firewall-1-INPUT -m state --state NEW -m udp -p udp --dport 4004 -j ACCEPT
포트 추가
#/sbin/service iptables restart
마운트가 정상적이지 않을겨우
daemon rpc.lockd -p 4001
'Linux & Solari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윈도우에서 리눅스 X윈도우 사용하기 VNC! (0) | 2009.08.04 |
---|---|
rsync 사용하기 (0) | 2009.08.04 |
리눅스 & 솔라리스 NFS 설정 (1) | 2009.08.04 |
MySQL 문자셋 지정 (0) | 2009.08.04 |
mysql processlist 에 알수없는 호스트(unknownhost) 관련 내용이 뜰경우 (0) | 2009.08.04 |
리눅스 fdisk 간략한 사용법 설명 (0) | 2009.08.04 |
비밀댓글입니다